카테고리 없음
부동산 취득세 & 양도소득세 완벽 정리 (2025년 최신 반영)
ideal3086
2025. 3. 13. 22:38
반응형
부동산을 매매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할 세금이 부동산 취득세와 양도소득세입니다. 주택 보유 수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므로, 정확한 정보를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1. 부동산 취득세 (부동산 구매 시 납부하는 세금)
부동산을 취득할 때 내는 세금으로, 주택 수와 조정대상지역 여부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.
주택수 | 비조정지역 세율 | 조정대상지역 세율 |
1주택 | 6억 원 이하 1%, 6~9억 원 2%, 9억 원 초과 3% | 동일 |
2주택 | 1~3% | 8% |
3주택 | 1~3% | 12% |
4주택 이상 | 1~3% | 12% |
- 1주택자 세율: 6억 원 이하 1%, 6~9억 원 2%, 9억 원 초과 3%
- 2주택 이상 (조정대상지역): 8~12% 중과
- 비조정지역 2주택자: 일반세율 (1~3%) 적용
👉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(예상 세금 확인하기)
2. 양도소득세 (부동산 매도 시 납부하는 세금)
부동산을 팔 때 발생한 이익(양도차익)에 부과되는 세금으로, 보유 기간과 주택 수에 따라 달라집니다.
주택 수 | 보유 기간 | 기본세율 | 조정대상지역 중과세율 |
1주택 | 2년 이상 | 비과세 (9억 원 이하) | - |
2주택 | 관계없음 | 6~45% | 기본세율 + 20% |
3주택 이상 | 관계없음 | 6~45% | 기본세율 + 30% |
- 1주택자 양도세 비과세 요건
- 보유 2년 이상
- 조정대상지역에서는 실거주 2년 필요
- 9억 원 초과분만 과세
- 다주택자 중과세
- 2주택: 기본세율 + 20% 가산
- 3주택 이상: 기본세율 + 30% 가산
국세청 홈택스 - 세금신고 > 모의계산 > 양도소득세 자동계산
국세청 홈택스
hometax.go.kr
3. 부동산 세금 절약 TIP
✅ 1주택자는 실거주 2년을 채우면 양도세 비과세 혜택 ✅ 증여 vs. 매매 비교 후 절세 전략 수립 ✅ 조정대상지역 여부 확인 후 세금 부담 계산 ✅ 양도소득세 중과 유예 혜택 (2026년 5월까지) 활용
🏡 부동산 투자 시 세금 부담을 최소화하려면 최신 정보를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🔎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?
국세청 홈페이지에서 다양한 세금 및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~^^
우리 한푼한푼 아껴봐요~~^^;;
국세청 홈택스
hometax.go.kr
반응형